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 17기 합격 꿀팁

by thebestrichman 2025. 1. 31.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이 시행 17년 차를 맞이하며, 2025년 17기 모집이 진행됩니다.
이번 모집을 통해 650명의 이야기할머니를 신규 선발하여, 전국 유아교육기관에서 옛이야기와 선현들의 미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신청 마감: 2025년 2월 14일
이 사업은 노년 여성에게는 새로운 사회활동과 자아실현의 기회를 제공하고, 유아들에게는 전통문화를 익히고 인성을 기르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2025년부터 ‘전통나눔 할아버지’ 사업과 연계하여 전통놀이·예절교육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할 계획입니다.


✅ 1. 이야기할머니 사업이란?

📌 사업 개요

  • 시행 17년 차 (2009년 시작)
  • 주관: 한국국학진흥원
  • 지원: 문화체육관광부 & 17개 광역자치단체
  • 주요 활동: 어린이집·유치원 등 유아교육기관에서 주 1회 옛이야기 전달
  • 2025년 활동 예정 인원: 3200여 명의 이야기할머니

📌 사업의 의미
노년 여성들에게 안정적인 일자리와 사회활동 기회 제공
유아들에게 우리 전통 문화와 정서를 자연스럽게 익히는 기회 제공
세대 간 문화 교류 활성화 및 지역사회 기여

 

📌 2024년 성과

  • 3100여 명의 이야기할머니 활동
  • 8300여 개 유아교육기관 방문
  • 총 533만 명의 유아들에게 전통 이야기 전달
  • ‘도란도란 이야기보따리’ 전국 순회공연 진행 (2023년~)
    • 2023년: 대구, 광주, 대전, 서울 등 4개 지역
    • 2024년: 성남, 인천, 전주, 춘천 등 전국 확대
    • 2024년 공연 프로그램 추가: 그림자극, 국악 미디어아트, 인형극 등

✅ 2. 이야기할머니 17기 모집 개요

📌 선발 인원

  • 총 650명 모집

📌 활동 기간

  • 최초 5년 활동
  • 연장 평가 후 합격 시 추가 3년 활동 가능 (최대 8년)

📌 지원 지역

  • 선발 지역 거주자만 지원 가능
  • 선발 제외 지역 거주자는 지원 불가
  • 지방자치단체별 선발 인원 미달 시, 적격자가 없으면 선발하지 않을 수도 있음

✅ 3. 이야기할머니가 하는 일

🔹 주요 활동

유아교육기관(어린이집·유치원) 방문하여 이야기 전달
주 1회, 한 편의 이야기를 외워 구연 (동화 구연과 유사)
연 평균 85회 활동 (주 2~3회 가능, 방학·연휴 제외)
1회 활동비: 4만 원 지급

🔹 교육 과정

📌 신규 교육

  • 1박 2일 동안 한국국학진흥원(안동)에서 기본 교육 이수
  • 사업 운영 상황에 따라 교육 장소 & 일정 변경 가능

📌 월례 교육

  • 매월 1~2회 진행 (구연 실습 포함)
  • 참석 시 1회당 3만 원 지급

📌 활동 시작 조건

  • 월례 교육에서 평가 점수(70점 이상) 통과 시 교육 수료 인정
  • 사전 교육 이수 후 정식 활동 가능

✅ 4. 지원 방법 및 절차

📌 지원 마감일: 2025년 2월 14일

🔹 서류 제출 필수 사항

응시지원서 & 자기소개서
주민등록초본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온라인 신청 시 체크로 대체 가능)
반명함판 사진 제출 (미제출 시 서류 탈락)

 

📌 서류 심사 탈락 주의 사항

지원 양식 임의 변경 금지
단면 출력 필수 (양면 출력 시 불인정)
지원 대상 연령 미충족 시 자동 탈락
선발 제외 지역 거주자 지원 불가


✅ 5. 면접 심사 기준

📌 면접 지역
✅ 서울, 원주,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제주

📌 유의사항
주민등록 주소지 기준으로 면접 장소 확정 (변경 불가)
면접 시간보다 20분 이상 늦으면 면접 기회 박탈

📌 심사 기준
지원 동기가 사업 취지에 적합한지
유아 인성교육자로서의 자세 평가
활동 의지 & 역할 수행 가능성 검토


🔎 총 정리!

📌 2025년 이야기할머니 17기 모집이 진행되며, 650명을 신규 선발합니다.
📌 5년 활동 후 연장 평가를 통해 최대 8년까지 활동 가능!
📌 주 1회 어린이집·유치원 방문, 전통 이야기 전달 & 연평균 85회 활동
📌 2025년 전통놀이·예절교육을 진행하는 ‘전통나눔 할아버지’ 사업과 함께 확대 운영 예정
📌 전통 문화 계승뿐만 아니라, 노년 여성의 사회 참여와 소득 창출에도 기여하는 가치 있는 사업

어린이들에게 전통 이야기를 전하고, 인성교육자로 활동하고 싶은 분들의 많은 지원 바랍니다! 😊